목록전체 글 (24)
환경 연구소
음식료 시장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의 관계 음식료와 생분해 플라스틱 작년 음식료의 매출 성장을 주로 견인했던 가공식품(HMR 등), 식사배달 시장은 규모가 커질수록 플라스틱 용기 문제도 같이 증가하게 되었죠. 국내는 아직까지 플라스틱 재활용 기준이 까다롭다는 것도 문제(햇반 용기, 병뚜껑, 로고가 인쇄된 컵 등은 재활용 불가)입니다. 향후 계속해서 음식료 시장의 외형성장과 플라스틱 처리 문제는 계속 같이 갈 수밖에 없습니다.(수요, 사회적 책임 측면, ESG 문제) 각 국가별로 플라스틱 규제에 관한 정책 나오고 있으며, 특히 플라스틱 최대 소비국가 중국에서 21년부터 플라스틱 관련 규제 계획이 구체화되었습니다. 또 PHA의 경우 미생물 베이스기 때문에 효소, 발효 기술을 가진 음식료 기업에 적합한 부분..

바이오 플라스틱 글로벌 동향 - PLA, PHA 글로벌 바이오플라스틱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PLA, PHA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바이오 플라스틱 물성으로는 LDPE/LLDPE 소재 대체로 사용 가능합니다. 2020년 글로벌 플라스틱 수요 내 바이오플라스틱 비중은 0.5% 이지만, LDPE/LLDPE 수요 내 바이오 플라스틱 비중 3.2%를 차지합니다. 2020년 기준 PLA가 전체 바이오플라스틱 수요 중 18.7%입니다. PLA 다음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소재는 PHA로, 2020년 PHA 비중은 1.7%에 불과하지만 Danimer 등을 중심으로 물성 개선이 빠르게 이루어져 2025년에는 11.5% 비중 확대 기대됩니다. 글로벌 PLA 시장 동향 2018년 이후로 시장 수요가..
PLA, PHA 기술의 방향은? PLA 물성 측면: 취성(brittleness) 및 소수성 개선 PLA는 기존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열변형 온도가 낮고 방수기능이 떨어집니다. 이에 수명 짧은 포장제품 등에 많이 사용하는데요. 취성과 소수성 개선을 통해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PLA 자체 개질 1) L-LA와 D-LA 비중 조절, 2) 공중합주(유연성 높거나 친수성 높은 소재와의 공중합: 대표적 PBAT, PGT) 3) 블랜딩법(PLA에 가소제 첨가) PLA 표면 개질 1) 표면 코팅법(콜라겐, 인회석 등 코팅으로 세포와의 친화성 높임) 2) 포집(entraoment)법(표면에 잘 흡착되지 않는 물질들을 물리적으로 결합) 3) 광 그래프팅(저비용 환경친화적 방법으로 표면 개질에서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