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LA (2)
환경 연구소
PLA, PHA 기술의 방향은? PLA 물성 측면: 취성(brittleness) 및 소수성 개선 PLA는 기존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열변형 온도가 낮고 방수기능이 떨어집니다. 이에 수명 짧은 포장제품 등에 많이 사용하는데요. 취성과 소수성 개선을 통해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PLA 자체 개질 1) L-LA와 D-LA 비중 조절, 2) 공중합주(유연성 높거나 친수성 높은 소재와의 공중합: 대표적 PBAT, PGT) 3) 블랜딩법(PLA에 가소제 첨가) PLA 표면 개질 1) 표면 코팅법(콜라겐, 인회석 등 코팅으로 세포와의 친화성 높임) 2) 포집(entraoment)법(표면에 잘 흡착되지 않는 물질들을 물리적으로 결합) 3) 광 그래프팅(저비용 환경친화적 방법으로 표면 개질에서 가장 ..

바이오 플라스틱은 석유화학기업들이 필연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는 소재이죠. 전체 석유화학 공정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플라스틱이고 이를 친환경으로 대체하지 않으면 탄소 중립을 이루어낼 수 없습니다. 아직 세부 정책들이 더 마련되어야 하지만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세에서 제품에 대한 탄소세는 생산단계, 공장 전기, 폐기단계 중 폐기단계를 제외하고 부과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가장 먼저 공장 전력을 신재생으로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원유 베이스를 친환경 베이스로 바꾸기 시작했죠. 주요국들은 친환경 정책을 강화, 특히, 원유 베이스 플라스틱 사용 제한을 강조하고 있으며, 2021년 들어 중국도 플라스틱 제한령을 금지령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바이오매스 기반의 고분..